본문 바로가기

커피 이야기

커피 무슨 맛으로 마셔..?

커피 무슨 맛

커피는 맛이 아닌 향으로 마신다고 표현합니다.

저는 그런거 잘 모르겠고 쓴맛과 오묘한 중독성 때문에 마십니다.

그런데 이 오묘한 중독성은 향에서 오는게 맞는 것 같네요.

 

주변에 커피를 못드시는 분들이 꽤 있습니다.

커피를 못마셔서 다 같이 카페 가면 비싼 종류의 스무디나 그 외 음료를 시키는 분도 있고, 콩 볶은 물이 뭐가 맛있냐며 반문하는 분도 있고, 체질상 마시면 속이 안좋다거나 몸에 안받으시는 분들도 있죠.

 

커피를 못드시는 대부분의 사람은 맛이 없어서가 제일 큰 것 같습니다. 제 여자친구도 한 때는 무슨 맛으로 먹냐며, 민트초코만 시켜먹었었는데 어느샌가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싸악' 내려준다면서 아아를 주문하는 광경을 봅니다.

 

프랜차이즈의 아메리카노는 다크하면서도 진한 맛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커피에 어느정도 익숙해진 분이 아니라면 거부감이 들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커피를 못마시는 분들도 커피의 세계에 입문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답은, 연하게 마신다입니다. 샷을 줄이거나 물 양을 늘리면 커피향이 나는 보리차를 마시는 느낌이랄까요.

 

그렇게 점점 커피의 향을 하나씩 즐기다보면 맛도 향도 즐거운 커피를 즐길 수 있게 됩니다.

연하게 마시는 커피조차 거부감이 든다면 라떼나, 아포가토 처럼 우유가 가미된 커피를 즐기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커피

어느 정도 커피를 마실 수 있게되면 커피 종류의 다양함에 대해 의문이 듭니다.

커피 맛이 거기서 거기 아닌가? 저도 처음엔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할리스, 커피스미스, 파스쿠찌 등 아메리카노를 다 마셔봐도 음.. 거기서 거긴거 같은데, 아 스타벅스는 맛없다."

 

추후에 드립커피나 산미가 풍부한 다른 커피들을 마셔보니 맛이 다른것을 확연히 느꼈습니다.

다크한 커피에 익숙해져있었던 터라 처음엔 산미가 있는 커피에 대해 거부감이 들었습니다.

 

플로럴, 과일향이라고 써진 커피들을 기피하다가, 어느샌가 오히려 산미 있는 커피들만 찾아나서게 되었죠.

 

그렇다면, 산미가 있는 커피와 고소한 커피는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

 

커피의 로스팅 커브

지역이나 품종의 영향도 크지만, 로스팅 정도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밝은색에 가까울수록 단맛과 신맛이 강한 원두이며, 어두운색에 가까울수록 고소한맛과 쓴맛이 강해집니다.

우리가 보통 커피 원두라고 하면 거의 갈색에서 검은색에 가까운 콩들만 보게되는데, City Roast ~ French Roast 사이의 로스팅이 끝난 원두를 대부분 봐왔기 때문입니다.

 

품종과 로스팅 수준에 따라서 쓴맛과 산미의 적절한 구간. 그리고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기호에 따라 자신에게 적합한 커피가 있을 겁니다. 또한, 같이 먹는 디저트가 단맛이 강한 경우 적절히 쓴맛의 커피와 어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커피의 맛을 제대로 알게 되면 그때부터는 나가고 싶어도 나갈 수 없습니다.

흔히, 회사에서 커피를 마시는 이유를 물어보면 십중팔구는 이렇게 대답할 것입니다.

 

"안마시면 죽을거 같아서.."

 

콩 볶은 물이 식사 이후 최고의 디저트가 된 세상입니다. 옛날에는 비싼 가격에 서민들은 마시지도 못하는 것이었지만, 오늘 날에는 누구나 쉽게 추출해서 함께 있는 사람과 좋은 시간을 보내는 기호 음료가 되었습니다.

 

커피는 좋은 사람과 좋은 시간을 보내는 맛으로 마십니다.

 

 

 

 

 

 

 

 

 

 

 

 

 

 

반응형